본문 바로가기

SNS: 웹서비스에 대한 SNS에 대한 정의와 현재 어떠한 서비스 되는 SNS의 사례 분석 SNS(Social Network Service)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1. 정의 웹상에서 지인과의 인맥 관계를 강화시키고, 새로운 인맥을 쌓아 폭넓은 인적 네트워크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해주는 서비스 인터넷에서 개인의 정보를 공유할 수 있게 하고, 의사소통을 도와주는 1인 미디어 카페, 동호회 드으이 커뮤니티 서비스가 특정 주제에 관심을 가진 집단이 그룹화 -> 폐쇄적인 서비스를 공유 SNS는 나 자신, 즉 개인이 중심이 되어 자신의 관심사와 개성을 공유한다는 점에서 커뮤니티 서비스와 차이를 보임 SNS는 웹을 웹답게 쓰기 위한 가장 진화된 형태의 서비스이다. 웹의 '시간'과 '공간'을 초월한 특성이 인적 네트워크 형성에 대한 욕망을 부추긴 것이다. 과거에는 게시판 형태의 커뮤니티 서비스가 인적 네트워크.. 더보기
시나리오 플롯 만들기: 메인 플롯과 서브플롯 시나리오 플롯 만들기 메인: 플롯과 서브플롯 기(발단): 스토리를 발전하기 위해 등장인물, 장소, 시대적 상황을 소개 런닝 타임 90분 내외의 영화 시나리오에는 소위 '10분의 법칙'이라는 것이 있다. 10분에 해당하는 런닝타임이 대개 시나리오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나 인물, 사건, 예상되는 갈등을 가장 극적이면서도 효과적으로 나타내 주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관객의 심리반응과도 관련된 것으로 관객은 대체로 극장에 들어가서 10분이내에 그 영화에 대한 가치를 내리기 때문이다. 승(전개): 갈등이 최고조에 달해 폭발하는 단계 전(클라이맥스): 갈등이 최고조에 달해 폭발하는 단계 결(종결): 갈등 해결과 여운 이러한 4단 구성이 보편적이지만 3단 구성, 5단 구성 등도 존재한다. 어떤 작법서에 따라 '.. 더보기
대사 잘 쓰는 방법? 감정이 들어간 대사. 캐릭터 위주 대사.대사의 원칙이란? 대사를 잘쓰는 방법은 무엇일까? 감정이 들어간 대사란? 캐릭터 위주의 대사를 쓰는 법. 은유와 절제된 대사를 알아보자 대사의 원칙들 대사는 화자와 거론되는 자의 성격을 드러나게 해야 한다. 대사는 화자와 여타 인물들간의 관계를 반영해야 한다. 대사는 행동을 진전시켜야 한다. 대사는 정보나 설명을 제공해야 한다. 앞으로 때때로 닥쳐올 사건들을 예고하여야 한다. 간단명료해야 한다. 한가지 대사에 여러가지 기능들을 부여하여 함축시켜라 대사와 지문을 중복시키는 것은 금기.(이때, 지문이 우선) [비쥬얼(지문): 영상적 언어와 구사능력] 비쥬얼적인 묘사는 작가에게는 언어적 기교로 풀어나가야 할 과제이다. 지문에서 나와야 할 것은 다음과 같다. 해당 장면이 벌어지고 있는 장소와 시간대, 상황을 암시할 만한것들, 해.. 더보기
매력적인 캐릭터 만들기:캐릭터의 표면성과 이면성,흥행성 매력적인 시나리오에는 역시 매력적인 캐릭터가 있다. 개인적으로 시나리오에서 가장 중요한게 신선하고, 매력적인 캐릭터를 만드는 일이라 생각한다. 오히려 플롯 위주의 시나리오 보다 캐릭터 위주의 글쓰기가 좀 더 중요하게 볼 수 도 있다. 캐릭터를 만들 때, 그 사람이 살아온 환경, 학벌, 혈액형, 좋아하는 거, 싫어하는 거, 연애타입, 상처, 희.노.애.락 등의 인물이력서를 만들어야 한다. 이렇게 되었을 때, 캐릭터가 입체적이고 좀더 매력적으로 보이게 된다. 이런 캐릭터의 보이는 부분을 표면적 특성. 그리고 보여지지 않는 반전의 부분을 이면적 특성이라고 한다. 보통 캐릭터의 표면성과 이면성에서 주로 극이 끝나갈 부분에 캐릭터가 상승, 발전하면서 그 이면적 특성, 반전이 나올 때 그걸 보는 관객은 감동하게 된.. 더보기
시놉시스란:시놉시스 쓰기의 노하우-시놉은 광고기획자처럼 써라 시놉시스란 무언인가? 시놉시스 쓰기: 광고기획자처럼 기획안을 작성하자 시나리오 공모전에 있어서 일단 시놉시스(기획안)이 제일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기획자가 모든 시나리오를 일일히 읽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일단 시놉시스를 상중하로 분류하고, 그리고 첫 3페이지 정도에서 더 읽을지 말지가 결정된다. 그러니 조금만 참고 기다려주세요. 뒤에는 죽이는 씬이 나옵니다. 라고 하는건 설득력이 없다. 시놉시스는 영화나 드라마를 만들려는 제작자 감독 기타 등등의 관계자들에게 왜 이 시나리오를 쓰게 됐는지, 작품이 추구하고자 하는 것은 무엇인지, 그리고 그 내용(줄거리)은 어떤 것인지, 또한 어떤 캐릭터를 가진 인물들이 나오는지 설명해주는 청사진 같은 것이다. 수많은 시나리오와 대본을 받고 검토해야 하는 제작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