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부의 무료 블로그 서비스를 이용할 때의 장·단점과 자체적인 설치형 블로그를 운영할 때의 장·단점에 대해 설명합니다.
일반적으로 "좋다" "나쁘다" 에 대해 말할 수 없다
우선 아주 많이 받는 질문이지만, 결론부터 말하자면 일반적으로 어떤 것이 나쁘다 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무엇을 목적으로, 누구를 대상으로 어떻게 블로그를 운영해 나갈 것인지 등에 따라 결정해야 하고, 그에 따른 장·단점이 나뉘게 됩니다.
자사 설치형 블로그를 운영할 때의 주의점
예를 들어, 자사 설치형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해당 블로그와 연관된 사이트 주제를 정하고 이와 관련된 내용으로 블로그를 운영해 나가야 합니다.
"오늘 점심은 어디서 먹었습니다!" 등처럼 사이트 주제에서 벗어나는 듯한 내용으로 블로그를 운영해 나간다면, 사이트 주제와는 점점 멀어질 수 있습니다.
즉, 자사 설치형 블로그를 운영하는 경우에는
「콘텐츠의 볼륨이나 지속적인 업데이트를 통한 SEO 개선」처럼 하나의 목적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업데이트 하는 콘텐츠의 주제와 품질(여기에서 말하는 것은 나름대로 볼륨이 있거나 전문적이고 자세히 알기 쉽게 써있는 등의 의미)이 요구되어야 합니다.
주제와 너무 동떨어진 얇은 콘텐츠를 대량으로 업데이트 하는 등의 작업을 하게 되면 높은 확률로 SEO에 역효과가 될 수 있습니다.
만약, 비교적 가벼운 콘텐츠 발신을 통해 친밀감을 표현하는 목적으로 블로그를 활용하고자 한다면 무리하게 동일한 자사 도메인으로 운영하는 것보다는, 외부의 무료 블로그 서비스를 통해 별도의 기사를 업데이트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외부의 무료 블로그 서비스에서 블로그를 배포 할 때의 주의점
일반적으로 무료 블로그를 이용하는 장점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것뿐만 아니라 사용하는 블로그 서비스에는 일정 수의 블로그 사용자, 방문자가 존재하기 때문에, 여기에서 원래 운영하는 사이트로의 유입도 노려볼 수 있습니다.
블로그 서비스의 '이웃'이나 '즐겨찾기' 등의 기능에서 자사 설치형 블로그에서는 획득하지 못했을 사용자층과의 만남을 가지는 것도 가능한 것입니다.
그런 용도로 무료 블로그를 사용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외부 블로그 서비스를 사용한 시점에서 그 블로그에 게재한 콘텐츠가 모인 링크는 블로그 서비스 본체에 축적되기 때문에 자사의 자산이 될 수는 없습니다. 어디까지나 사람이 모이는 장소를 빌려 정보를 발신하는 장소로서 이용할 수 밖에 없습니다.
정리
자사의 설치형 블로그로 운영하는 핵심은 이렇게 정리할 수 있습니다.
- 콘텐츠 주제가 사이트 테마와 일치하고, 일정 수준이상의 품질임을 만족
- 내용이나 링크 등이 자사의 자산으로 축적된다는 점에서 SEO상의 권장사항
- 그러나 얇은 콘텐츠나 관련성이 낮은 콘텐츠의 양산은 SEO에 역효과이므로 주의
외부의 무료 블로그 서비스에서 블로그를 운영하는 핵심은 이렇게 정리합니다.
- 원래 운영하는 웹사이트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품질과 테마를 굳이 거기에 고집할 필요는 없다.
- 내용이나 링크 등은 자사의 자산으로 축적되지 않기 때문에 SEO관점에서 투자대비 효과는 낮은 편
- 블로그 서비스에 있는 사용자, 기능, 커뮤니티 등을 처음부터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다
요즘의 일반적인 기업블로그 트렌드는 자사 사이트 자체를 사람이 모이는 미디어로 만들려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상 각각 경우에 따라 옮고 그름이 있는 것이므로, 참고로 선택하는 것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SEO > SEO에관한Q&A'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메인 연장을 잊어 만료되었을 때 SEO에 영향을 있을까? (0) | 2015.04.04 |
---|---|
웹사이트(홈페이지)를 만들고 검색노출 될 때까지의 속도를 높이려면? (0) | 2015.04.01 |
웹마스터 도구를 사용하면 검색엔진최적화(SEO)에 유리한가요? (0) | 2015.04.01 |
페이지 표시속도는 SEO에 관계가 있나요? (0) | 2015.03.31 |
동적 URL(동적 페이지)과 정적 URL(정적 페이지) 중 SEO에 유리한 것은? (0) | 2015.03.30 |